마라톤과 같은 지속적인 운동을 할 때는 유산소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한다.
목차
1.유산소 시스템
2.크렙스 사이클
3.전자전달체계
4.마무리
1.유산소 시스템
유산소 시스템은 세포 내부에 위치한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며 , 긴급한 상황이 아닌 지속적인 운동에서 사용됩니다 . 운동의 강도가 낮을수록 , 즉 산소 공급이 충분할수록 더 많은 에너지가 유산소 시스템을 통해 생산됩니다 .
유산소 시스템에서는 글루코스 , 지방산 , 아미노산 등의 에너지원이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 반응을 일으키고 , 이를 통해 ATP 가 생성된다 . 유산소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ATP 는 주로 미토콘드리아 내부의 ATP 합성 효소인 ATP synthase(ATP합성효소) 를 통해 생산됩니다 .
유산소 시스템에서는 지방산을 이용한 산소 공급도 가능합니다 . 지방산은 유산소 시스템을 통해 분해되어 아세틸조효소 A 로 전환되며 , 이것은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되면서 에너지를 생산한다 . 이러한 지방산 분해과정을 지방산 산화라고 합니다 .
유산소 시스템은 대부분의 유산소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. 특히 , 지속적인 운동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며 , 유산소 시스템이 발달한 사람은 지속적인 운동에 더 효과적입니다 . 유산소 시스템은 운동의 강도와 지속 시간에 따라서도 에너지 생성량이 변하기 때문에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고려해서 구성해야 한다.
2.크렙스 회로
크렙스 회로는 리 몸의 세포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 중 하나로 중요한 대사 경로 중 하나 입니다.
이 과정에서 , 포도당과 같은 당이 산화되어 에너지 (ATP) 를 생성하는 과정이 일어납니다 . 먼저 , 포도당은 분해되어 2 개의 3 탄소 분자인 피루브산으로 전환됩니다 . 이 과정에서 일부 NAD+ 가 NADH 로 전환됩니다 .
그 다음 , 피루브은 산화되어 CO2, ATP, NADH, FADH 를 생성하는 과정이 일어납니다 . 이러한 생성물들은 뒤이어 발생하는 산소호흡과정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사용됩니다 .
<크렙스 회로 순서>
1.시트르산 (Citrate)
2.이소시트르산 (Isocitrate)
3.알파케토글루타르산 (Alpha-Ketoglutarate)
4.숙시닐코엔자임 A (Succinyl-CoA)
5.숙신산 (Succinate)
6.푸마르산 (Fumarate)
7.말산 (Malate)
8.옥살로아세트산 (Oxaloacetate)
3.전자전달체계
전자전달체계는 미토콘드리아 내부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생성 과정으로 , 이 과정에서 물 분자가 분해되고 에너지가 생성됩니다 . 이 과정은 미토콘드리아 내부 막의 단백질 복합체에서 일어나고 NADH 와 FADH는 전자를 기부하여 전자 전달 체인을 따라 막을 통과합니다 . 이때 방출되는 에너지는 ATP 합성에 이용되며 , ATP 는 세포 내 에너지원으로 작용합니다 .
4.마무리
크렙스 회로와 전자전달체계는 어려운 과정으로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
오늘은 맛만 보는 느낌으로 간단하게 요약해서 써봤습니다.
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자세하게 쭉 써보겠습니다 .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