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 몸의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에 대해서 알아보자 .
목차
1. 인슐린 , 글루카곤이란 ?
2. 인슐린 , 글루카곤의 작용
3. 운동 시 인슐린과 글루카곤
4. 마무리
1. 인슐린과 글루카곤이란
인슐린 :
췌장의 랑게르한스섬 베타세포에서 분비되며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이다 .
글루카곤 :
췌장의 랑게르한스섬 알파세포에서 분비되며 혈당 조절에 관여 , 인슐린과는 반대 효과를 나타내는 호르몬이다 .
2. 인슐린 , 글루카곤의 작용
인슐린 :
혈당 조절 : 인슐린은 혈중의 당 ( 혈당 ) 농도를 조절하는 주요 기능을 갖고 있다 . 인슐린은 세포막을 통해 세포 내로 당을 운반하는 당수송체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세포로 당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. 이를 통해 혈당 농도를 낮추고 정상적인 수준으로 유지한다 .
당의 저장 : 인슐린은 간과 근육세포에서 글리코겐이라는 당의 형태로 저장되는 과정을 촉진한다 . 글리코겐은 혈당이 필요할 때 간에서 분해되어 당이 제공되는 형태이며 인슐린이 충분히 작용하지 않을 경우 , 글리코겐의 생성이 저하되어 혈당 조절이 어려워집니다 .
당 생성 억제 : 인슐린은 간에서 당의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. 간은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당을 생성하는 과정을 조절하는데 , 인슐린은 이과정을 억제하여 과도한 당 생성을 방지한다 .
지방 대사 조절 : 인슐린은 지방세포에서 지방의 합성과 저장을 촉진한다 . 인슐린의 작용으로 지방이 적절히 저장되고 지방 분해가 억제되어 혈중의 지방농도를 조절한다 .
단백질 합성 촉진 : 인슐린은 근육세포에서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한다 . 이는 근육의 성장과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.
글루카곤 :
글리코겐 분해 촉진 : 글루카곤은 간에서 저장된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당을 생성하는 과정을 촉진하여 . 이를 통해 혈당을 증가시킨다 . 글리코겐은 당의 형태로 저장된 에너지원이며 , 글루카곤은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당을 제공하여 혈당을 유지한다 .
당 생성 촉진 : 글루카곤은 간에서 아미노산 , 지방산 등의 비당질성 물질을 이용하여 당을 생성하는 과정을 촉진시킨다 . 이는 혈당을 높이는 데에 기여한다 .
지방 분해 촉진 : 글루카곤은 지방세포에서 지방 분해를 촉진시킨다 . 지방 분해에 의해 지방산이 혈액으로 방출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. 이는 혈당을 증가시키는 데에 도움을 준다 .
단백질 분해 촉진 : 글루카곤은 단백질 분해를 촉진시켜 아미노산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킨다 . 이러한 아미노산은 간에서 당 생성에 사용될 수 있다 .
인슐린 분비 억제 : 글루카곤은 인슐린의 분비를 억제한다 .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하지만 글루카곤은 혈당을 높이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두 호르몬은 상호 조절적인 관계에 있다 .
3. 운동 시 인슐린과 글루카곤
인슐린 :
혈당 조절 : 운동은 혈당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, 인슐린은 이 과정을 도와준다 . 운동 시에 근육이 활동하면서 에너지를 사용하고 혈당을 소모하는데 , 인슐린은 혈중의 당을 근육 세포로 운반하여 에너지 공급에 활용하며 혈당을 조절하여 안정화시킨다 .
글리코겐 합성 촉진 : 운동 후에는 근육 내의 글리코겐 수준이 감소한다 . 인슐린은 운동 후에 글리코겐 합성을 촉진하여 근육 내에 저장되는 당의 형태로 변환시킨다 . 이를 통해 다음 운동에 사용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글리코겐을 충전한다 .
단백질 합성 촉진 : 운동은 근육 성장을 촉진하는데 , 인슐린은 이 과정을 도와준다 . 운동 후 인슐린은 근육 세포 내의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여 근육의 회복과 성장을 도와준다 .
지방 저장 억제 : 운동은 지방 분해를 촉진시키는데 , 이와 반대로 인슐린은 지방 저장을 촉진한다 . 운동 시에는 인슐린 분비가 억제되어 지방 분해가 활성화되지만 , 운동 후 인슐린은 혈중의 지방산을 근육이나 지방조직에 다시 저장시킨다 .
운동 후 혈당 회복 : 운동 후에는 혈당 회복이 중요하며 인슐린은 운동 후에도 혈당을 빠르게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. 인슐린은 운동 후 근육 세포로 당을 운반하여 글리코겐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혈당을 안정화시킨다 .
글루카곤 :
글리코겐 분해 촉진 : 운동 시 글루카곤은 간에서 저장된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당을 생성하는 과정을 촉진시킨다 . 이는 운동 중에 근육이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글리코겐을 이용하여 당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.
지방 분해 촉진 : 글루카곤은 운동 시 지방세포에서 지방 분해를 촉진시킨다 . 지방 분해는 지방세포 내의 지방을 지방산으로 분해하여 혈액으로 방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. 이러한 지방산은 운동 중에 근육이 에너지로 사용될 수 있다 .
단백질 분해 촉진 : 글루카곤은 운동 시 단백질 분해를 촉진시킨다 .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간에서 당 생성에 사용될 수 있다 . 따라서 , 글루카곤은 운동 중에 단백질 분해를 통해 당 생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.
인슐린 분비 억제 : 운동 시 글루카곤은 인슐린의 분비를 억제한다 .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하지만 , 운동 중에는 혈당이 일시적으로 상승하고 인슐린 분비가 억제되어야 한다 . 이때 글루카곤은 인슐린의 분비를 조절하여 혈당 조절을 도와준다 .
4. 마무리
인슐린과 글루카곤은 서로 상호 작용하여 혈당을 균형있게 조절하는데 기여한다 .
인슐린과 글루카곤의 균형이 깨진다면 당뇨병,글루카곤종 등 여러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.
댓글